전체도서

신라 중대 혼인 정치사

신라 중대 혼인 정치사

지은이: 조범환

분야: 역사·철학·종교

발행일: 2022-05-20

ISBN: 978-89-337-0802-6

페이지수: 244쪽

판형: 152×224mm

가격: 28,000원

수상: 2023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전근대 국가에서 왕실혼은 새로운 성원을 생산하여 왕실을 유지하고 지속하는 방법이었다. 또한 왕실은 최고 신분층이나 정치 권력의 핵심에 위치한 인물의 딸을 왕 혹은 태자의 배필로 맞이함으로써 정국 방향을 바꾸거나 정치 권력의 지형을 변화시켜 왕권을 안정시키거나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왕실은 대단히 신중하게 왕비나 태자비를 선택하였다. 따라서 왕실혼은 당대 정치사의 단면을 조망하게 해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라 중대는 654년부터 780년, 태종무열왕 때부터 혜공왕 때까지를 가리킨다. 신라 중대 정치사 연구에서 이 시기는 전제 왕권기라고 받아들여져 왔다. 저자는 그 시기의 인물들 중 신문왕의 후비이자 효소왕의 모후인 신목태후神睦太后에게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녀는 태종무열왕의 외손녀이자 신문왕의 고종사촌 여동생으로서 신문왕의 두 번째 왕비가 되었으며, 신문왕 사후에 6세로 즉위한 효소왕을 대신해 정국을 이끌어 나가다 갑작스럽게 죽음을 맞았다. 이러한 과정에 대하여 논문을 작성하던 저자는 점차 신라 중대 왕실의 혼인에까지 관심 영역을 넓혀 나가게 되었다.

 

신라 중대는 특정 인물의 혈통이 이어지지 않은 상대, 하대와 달리 무열왕계라 불리는 김춘추의 혈통이 끊임없이 이어진 시기이다. 태종무열왕(29대)-문무왕(30대)-신문왕(31대)-효소왕(32대)은 족내혼을 하였고, 성덕왕(33대)-효성왕(34대)-경덕왕(35대)-혜공왕(36대)은 족외혼을 하였다. 이 시기 왕실혼에는 특이한 점이 있는데, 여러 왕들이 첫 번째 왕비를 궁에서 내보내고 두 번째 왕비를 맞이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신라 상대와 하대에는 볼 수 없는 혼인 방식이다. 

 

왜 신라 중대의 여러 왕들은 첫 번째 왕비와 헤어지고 두 번째 왕비를 맞이하였을까?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들은 왕비들을 왕이 왕궁에서 나가라고 하면 순순히 출궁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다루었는데, 여성의 지위가 높았던 신라 사회의 분위기를 고려한다면 과연 실제로도 그러했을까? 이러한 의문점을 가진 저자는 본격적으로 신라 중대 왕들의 혼인에 대하여 살펴보게 되었다.

 

신라 중대 왕실 혼인은 신라사 전체를 통하여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왕비의 지위를 둘러싼 지배집단 간의 치열한 권력 쟁탈이라는 견해가 있다. 그동안 이루어진 신라 중대 정치사 연구에서는 전제적 왕권을 통설로 보지만, 저자는 왕실혼을 꼼꼼히 살펴보면 신라 중대 정치사를 새로운 시각에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전에도 이후에도 나타나지 않은 혼인 방식이 있었던 시대이므로, 그렇다면 이러한 혼인이 이루어진 배경과 정치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당대 정치 상황의 특성과 역동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제하에 저자는 왕실혼 연구를 통해 신라 중대 정치사에 대한 기왕의 견해들을 새롭게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책에서는 각 장마다 한 명씩, 중대 여덟 명의 왕들의 혼인 과정과 이를 둘러싼 정치 상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신라 중대 왕실혼의 주요 특징은 여덟 명의 왕 중 네 명(신문왕, 성덕왕, 효성왕, 경덕왕)이 왕비를 출궁시킨 다음 후비를 맞이하였고, 특정한 집안에서 연속해서 후비를 들였다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외척 세력과의 정치적 대결 구도가 끊임없이 양산되었다. 그로 인해 왕권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고,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른 경우 모후나 국인 세력이 왕권을 제약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또한 성덕왕대에 족내혼에서 족외혼으로 바뀌면서 진골 귀족 집안에서 왕비를 배출할 가능성이 높아졌으나, 혜공왕이 두 명의 왕비를 동시에 두고 정치적 혼란이 커지면서 무열왕계는 몰락하고 말았다. 왕실혼은 왕과 외척, 왕권을 강화하려는 측과 권력을 잡으려는 외척 세력의 갈등과 타협 과정의 중심 사건이었다. 선비를 출궁시키고 후비를 맞이하는 관습은 이 같은 정치적 구도하에서 형성되었던 것이다. 

책머리에

 

신라 중대 정치사 새롭게 보기

 

제Ⅰ편 신라 중대 왕실의 족내혼과 정치

 

제1장 신라 중대를 연 태종무열왕의 혼인

Ⅰ. 문제 제기

Ⅱ. 김춘추의 혼인에 대한 재검토

Ⅲ. 김춘추의 적자와 서자에 대한 검토

Ⅳ. 김춘추 딸들의 혼인 관계 

 

제2장 문무왕의 혼인과 위기 극복

Ⅰ. 문제 제기

Ⅱ. 문무왕과 자의왕후의 혼인 

Ⅲ. 취리산 회맹과 정명의 태자 책봉 

Ⅳ. 문무왕의 유조와 태자 정명 

 

제3장 신문왕대 족내혼과 그 유산

Ⅰ. 문제 제기 

Ⅱ. 정명의 혼인과 왕비의 출궁

Ⅲ. 신문왕과 신목왕후의 혼인

Ⅳ. 신문왕의 원자와 아들에 대한 재검토

 

제4장 효소왕대 모후 세력과 정국의 향배

Ⅰ. 문제 제기 

Ⅱ. 효소왕 즉위 시 나이 문제와 태자 책봉

Ⅲ. 효소왕 전반기의 정국과 신목태후

Ⅳ. 효소왕의 정국 주도와 경영의 난

 

제Ⅱ편 신라 중대 왕실의 족외혼과 정치

 

제5장 성덕왕대 김순원 세력의 등장

Ⅰ. 문제 제기

Ⅱ. 김원태 세력과 성정왕후의 입궁 

Ⅲ. 성정왕후의 출궁과 왕권의 안정 

Ⅳ. 소덕왕후의 입궁과 김순원 세력의 확대 

 

제6장 효성왕대 외척 세력과의 대립과 갈등

Ⅰ. 문제 제기 

Ⅱ. 박씨 왕비의 책봉을 통한 왕권의 안정 추구 

Ⅲ. 혜명왕후의 등장과 왕권의 후퇴 

Ⅳ. 후궁 세력의 몰락과 왕권 강화의 실패

 

제7장 경덕왕대 외척 세력 퇴출과 한계

Ⅰ. 문제 제기 

Ⅱ. 헌영과 삼모부인의 혼인 배경

Ⅲ. 삼모부인의 출궁과 사량부인 

Ⅳ. 경덕왕과 만월부인의 혼인

Ⅴ. 삼모부인의 재등장과 경덕왕의 정국 운영 

 

제8장 혜공왕대 원․차비의 공존과 신라 중대의 종말

Ⅰ. 문제 제기

Ⅱ. 만월부인의 섭정하에서 혜공왕의 혼인 

Ⅲ. 혜공왕의 친정과 차비와의 혼인 

 

신라 중대 왕권과 외척 세력―결론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조범환

 

서강대학교 재학 중 부전공으로 선택한 역사학에 매료되어 1986년 같은 대학 사학과 대학원에 입학하였다. 한국고대사를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강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부를 시작하면서 나말여초 선종 불교 사상에 관심을 두어 『新羅禪宗硏究』(一潮閣, 2001), 『羅末麗初 禪宗山門 開創 硏究』(景仁文化社, 2008), 『羅末麗初 南宗禪 硏究』(一潮閣, 2013) 등의 저서를 발간하였다. 그리고 나말여초 정치사와 관련한 『중세로 가는 길목 신라하대사』(새문사, 2018)도 세상에 보탰다. 최근에는 고대 삼국의 정치 및 사회사 등의 연구에 치중하고 있으며, 특히 재당 유이민 묘지명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학술지에 처음으로 「新羅末 朴氏 王의 登場과 그 政治的 性格」을 발표한 이후 다수의 논문을 저술하였다.

 

나말여초 남종선 연구

조범환

신라선종연구 : 낭혜무염과 성주산문을 중심으로

조범환 지음

  • 교보문고
  • yes24
  • 인터파크도서
  • 알라딘
  • 영풍문고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