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도서

상대 일본어의 음운체계 ― 만요가나의 차용음운론

상대 일본어의 음운체계 ― 만요가나의 차용음운론 / 上代 日本語의 音韻體系: 萬葉假名의 借用音韻論

지은이: 이승재, 강인선

분야: 어학·문학

발행일: 2020-08-01

ISBN: 978-89-337-0774-6 93700

페이지수: 1040쪽

판형: 152×224mm

가격: 70,000원

일본에서는 대개 고사기, 일본서기, 만엽집에 나오는 만요가나를 하나로 뭉쳐서 연구한다. 그러나 이렇게 분석하다 보면 세 텍스트 상호 간의 차이와 이들 사이에서 일어난 음운 변화를 놓치게 된다.

저자들은 만요가나로 기록된 가요를 고사기가요, 일본서기가요, 만엽집가요의 셋으로 나누어 이들의 공시적 음운체계를 설정하되, 3종 텍스트의 음운체계를 서로 대비함으로써 미세한 부분의 통시적 변화까지도 기술하였다. 그리하여 상대 일본어를 대상으로 음운사를 기술하는 데에 궁극적 목표를 두었다.

저자들은 고사기, 일본서기, 만엽집의 분석 대상을 음가나로 한정하여 상대 일본어의 음운체계를 재구했다. 3종의 텍스트에서 자음체계는 전혀 변동이 없지만, 모음체계는 텍스트별로 점진적 변화를 경험했다.

고사기에서는 기본모음 /a, i, u, e, o/에 을류 모음 /ə/가 더해진 6모음체계가 기본이되, G·B·M3행에서 제7의 모음 /ɨ/가 설정된다. /ɨ/는 전기 중고음의 중뉴대립에 그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외래적 모음이다. 일본서기음가나도 기본적으로 6모음체계이되, M행에서만 제7의 모음 /ɨ/가 설정된다. 만엽집음가나에서도 G행에서 /ɨ/가 설정된다. 만엽집음가나는 5모음체계가 기본이되, K·G·M3행에만 을류 모음 /ə/ 또는 /ɨ/가 설정된다.

상호 대비를 위하여 이들을 수치로 비유하면, ‘6.3모음6.1모음5.3모음5.0모음의 점진적 변화를 거쳐 9세기 4/4분기에 5모음체계가 확립된다. 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음체계가 ‘7모음6모음5모음의 통시적 변화를 겪었다는 사실이 한눈에 들어왔다. 고사기음가나는 7모음체계에서 6모음체계로 변화하는 마지막 단계이다. 일본서기음가나는 이 변화가 완성되기 바로 직전이다. 만엽집음가나는 6모음체계에서 5모음체계로 변화하는 마지막 단계이다.

상대 일본어의 8모음설은 일본어학의 세계적 상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가요 표기의 음가나로 한정하면 이 8모음설이 실증되지 않는다. 8모음설은 희귀 음가나뿐만 아니라 훈가나도 포함하고 모든 상대 일본어 자료를 한군데로 망라하여 분석할 때에만 성립하는 이론적 모음체계일 뿐이다.

일본인의 정서를 대변하는 만엽가가 4,750여 수나 남아 있다. 기초적인 이본 연구부터 만엽인의 소리를 복원해 내는 일까지 연구의 목적·대상·방법도 아주 다양하다. 저자들은 그 깊고도 넓은 세계 중에서 표기법과 음운론 분야에 도전하여 8모음설을 무너뜨렸다.

<책머리에> 젊은 날의 좌절 

 

1. 머리말

1.1. 연구 목적과 연구 대상

1.2. 연구 방법

 

2. 만요가나·만엽가·『만엽집』 

2.1. 만요가나

2.1.1. 만요가나의 발생과 발달 / 2.1.2. 8세기의 만요가나

2.2. 만요가나의 분류

2.2.1. 음가나와 훈가나 / 2.2.2.『만엽집』의 권별 만요가나 / 2.2.3. 약체와 비약체

2.3. 『만엽집』과 만엽가

2.3.1. 『만엽집』 성립사와 권별 특징 / 2.3.2. 『만엽집』의 典據 / 2.3.3. 만엽가의 시대별 구분과 작가 / 2.3.4. 만엽가의 형식과 노래 표현

2.4. 독법 연구사

2.4.1.『만엽집』의 훈점본 / 2.4.2. 근대와 현대의 연구

 

3. 가요 표기 

3.1. 『고사기』 가요의 표기 

3.1.1.『고사기』 만요가나의 표기법 / 3.1.2.『고사기』 음가나 목록 / 3.1.3.『고사기』 음가나의 운미별 분류 / 3.1.4.『고사기』 음가나의 50음도

3.2. 『일본서기』 가요의 표기

3.2.1.『일본서기』의 α군과 β군 / 3.2.2.『일본서기』 β군의 음가나 목록 / 3.2.3.『일본서기』 β군 음가나의 운미별 분류 / 3.2.4.『일본서기』 β군 음가나의 50음도 / 3.2.5.『일본서기』 α군의 음가나 목록 / 3.2.6.『일본서기』 α군 음가나의 운미별 분류 / 3.2.7.『일본서기』 α군 음가나의 50음도 / 3.2.8. 3종 텍스트의 음절별 대표자 대비

3.3. 『만엽집』 가요의 표기 

3.3.1. 음표기 가요(P군)와 훈표기 가요(Q군)의 구별 / 3.3.2.『만엽집』 가요의 표기법적 이중성 / 3.3.3. 훈표기 가요의 분류 기준 / 3.3.4. 한자 의미와 일본어 형태의 대응 / 3.3.5.『만엽집』 P군의 표기 / 3.3.6.『만엽집』 Q군의 표기

3.4. 목간 가요의 표기

3.4.1. 목간의 만엽가 18점 / 3.4.2. 목간 가요의 표기법

3.5. 만엽가요 표기의 종합 정리 

 

4. 『고사기』 음운 

4.1. 음운론적 분석 방법 

4.1.1. 해독 결과의 수용과 일자일음의 원칙 / 4.1.2. 한어 중고음과 그 대체 수용 / 4.1.3. 동음 관계와 이음 관계의 확인

4.2. 『고사기』 음가나의 음절별 분석

4.2.1. ø행, ア行 / 4.2.2. N행, ナ行 / 4.2.3. M행, マ行 / 4.2.4. R행, ラ行 / 4.2.5. K행, カ行 / 4.2.6. S행, サ行 / 4.2.7. T행, タ行 / 4.2.8. P행, ハ行 / 4.2.9. J행, ヤ行 / 4.2.10. W행, ワ行

4.3. 『고사기』 음가나의 음운체계 

4.3.1.『고사기』 음가나의 음가 배당표 / 4.3.2.『고사기』 음가나의 자음체계 / 4.3.3.『고사기』 음가나의 모음체계 / 4.3.4. 중고음 성모의 대체 수용 / 4.3.5. 중고음 운모의 대체 수용

 

5. 『일본서기』 음운

5.1. 『일본서기』 음가나의 50음도 

5.2. 『일본서기』 음가나의 음절별 분석

5.2.1. ø행, ア행 / 5.2.2. N행, ナ행 / 5.2.3. M행, マ행 / 5.2.4. R행, ラ행 / 5.2.5. K행, カ행 / 5.2.6. S행, サ행 / 5.2.7. T행, タ행 / 5.2.8. P행, ハ행 / 5.2.9. J행, ヤ행 / 5.2.10. W행, ワ행

5.3. 『일본서기』 음가나의 음운체계

5.3.1.『일본서기』 음가나의 음가 배당표 / 5.3.2.『일본서기』 음가나의 자음체계 / 5.3.3.『일본서기』 음가나의 모음체계 / 5.3.4. 중고음 성모의 대체 수용 / 5.3.5. 중고음 운모의 대체 수용 / 5.3.6.『일본서기』 β군과 α군의 음운론적 차이

 

6. 『만엽집』 음운 

6.1. 『만엽집』 음가나의 50음도 

6.2. 『만엽집』 음가나의 음절별 분석

6.2.1. ø행, ア行 / 6.2.2. N행, ナ行 / 6.2.3. M행, マ行 / 6.2.4. R행, ラ行 / 6.2.5. K행, カ行 / 6.2.6. S행, サ行 / 6.2.7. T행, タ行 / 6.2.8. P행, ハ行 / 6.2.9. J행, ヤ行 / 6.2.10. W행, ワ行

6.3. 『만엽집』 음가나의 음운체계 

6.3.1.『만엽집』 음가나의 음가 배당표 / 6.3.2.『만엽집』 음가나의 자음체계 / 6.3.3.『만엽집』 음가나의 모음체계 / 6.3.4. 중고음 성모의 대체 수용 / 6.3.5. 중고음 운모의 대체 수용

 

7. 만요가나 그 이후

7.1. 헤이안 초․중기 가나의 계보

7.2. 5모음체계의 확립

7.3. 50음도의 확립

 

8. 마무리

 

참고문헌

日文抄錄

[부록] 가요 텍스트별 한어 중고음의 대체 수용

찾아보기

이승재(李丞宰)

1955년 전남 구례 출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문학사, 동 대학원 문학석사 및 문학 박사.

전북대학교와 가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로 재직 중.

『高麗時代의 吏讀』, 『50권본 화엄경 연구』, 『방언 연구』, 『角筆口訣의 解讀과 飜譯』(공저, 전 5권), 『漢字音으로 본 백제어 자음체계』, 『아이마라어 어휘』(공저), 『아이마라어 연구』(공저), 『漢字音으로 본 고구려어 음운 체계』, 『木簡에 기록된 古代 韓國語』, 『前期 中古音: 『世說新語』 對話文 用字의 音韻對立』 등 23권의 저서(공저, 편저 포함)와 120여 편의 논문을 발표.  

 

강인선(康仁善)

1952년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문학사, 동 대학원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수학. 일본 도쿄외국어대학 조선어학과 외국인교수, 국립국어원 연구관, 성공회대학교 일어일본학과 교수 역임.

『일본어 관찰하기』(역서), 『일본어학개론』(공저) 등과 「上代日本語의 借字表記 연구」, 「일본한자음 연구사」, 「延喜式 祝詞의 漢字 索引」, 「延喜式 祝詞의 用字法에 대하여」 등의 논문을 발표.

 

전기 중고음: <세설신어> 대화문 용자의 음운대립

이승재

목간에 기록된 고대 한국어

이승재

한자음으로 본 고구려어 음운체계

이승재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