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도서

그리운 한국마을 : 일본 문화인류학자의 눈에 비친 1970년대 진도·안동의 정경

그리운 한국마을 : 일본 문화인류학자의 눈에 비친 1970년대 진도·안동의 정경

지은이: 이토 아비토(伊藤亞人)

옮긴이: 임경택

분야: 사회·문화·민속·교육

발행일: 2010-12-22

ISBN: 978-89-337-0598-8

페이지수: 252쪽

판형: 152×210

가격: 16,000원

문화인류학자로서의 자각이 아로새겨진 흑백사진들

이 책은 한국연구와 관련해 단연 손꼽히는 연구자인 일본의 문화인류학자 이토 아비토 교수가 1970년대 처음으로 한국에서 현지조사를 하며 겪고 느낀 이야기들을 140여 장의 사진과 함께 정리해낸 책이다.

타문화·타사회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이에 따라 문화인류학이 주목을 받기 시작함과 동시에 이와 관련한 이론서와 사례묶음 등은 이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 책은 그런 문화인류학 관련 서적과는 좀 다른 방식이다. 어쩌면 매우 개인적이기까지 한 기록으로서 설레고 호기심 가득한 마음으로 첫 현지조사에 나선 초보학자 시절을 이제는 노학자가 된 저자가 옛 기억을 되살리고, 오래된 기록과 사진을 재구성해 정리하였다. 따라서 구성이 체계적일 수 없고 현지조사 연구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도 없다. 하지만 선생님 곁에 둘러앉아 낡은 앨범을 열어보며 설명을 듣듯이 책을 읽다보면 타문화를 이해하는 데 이론을 아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아마추어 무선에 열중하던 이과생이 민속학에 푹 빠져 문화인류학자가 되기까지의 과정이 첫 장을 이루고, 한국연구의 첫 발을 내딛은 ‘진도’에서의 정착기와 그곳에서 생활하는 동안 일어난 크고 작은 일화들이 두 번째 장을 이룬다. 세 번째 장은 1973년과 1974년에 안동 진성 이씨 이퇴계 종가에 머물렀을 때의 기록으로 ‘한자’를 잘 알고 있다는 점 때문에 양반가에서 크게 환영을 받았다고 한다. 마지막 장에는 지난 40여 년간 이토 교수와 인연을 맺은 ‘한국의 친구들’이 남긴 글이 실려 있는데, 이토 교수에 대한 깊은 우정과 믿음을 엿볼 수 있다.
한국의 독자들에게


1. 한국연구의 시작
문화인류학적 한국연구|민속학의 세계에 이끌리다|수상생활 어민에 대한 관심|문화인류학 전공|한국연구를 시작하다|오키나와에서 지낸 한 달 반|인류학의 이념

2. 한국 전통예술의 고향―진도
진도를 조사지로 선택한 이유|진도에서 사귄 친구|불가사의한 이야기들|조사할 마을을 찾다|나를 받아준 마을|상만리에서의 생활|술은 마을의 필수품|보름달 밤에 흔들리는 사람들|마을사람들이 다시 일으켜 세운 절|상자에 넣어둔 경문집|가까운 나라에서의 현지조사|순항선|섬의 모양을 바꾸어버린 간척공사|교육과 사관과 지역개발|진혼을 위한 평화제|새마을운동과 마을 개발|교육의 장―서당|농촌진흥회와 공동성|일본으로 간 사람들|예향이라 불리는 까닭|진도의 나일론극장|행상과 정기시장|진도에 매료된 사람들|간첩 신고

3. 양반의 동네―안동
이퇴계의 종손|양반|한학의 세계|종가에서의 생활|남녀유별의 세계|목욕 풍경|젊은이와 노인|신분의 개념|변화하는 사회|불교의 사원|야간통행금지|반일감정

4. 한국에서 맺은 인연
추억의 기록|이토 교수와 나의 인연-결연여난향으로!|진도사람 이토 아비토 교수

일본어판 후기
옮긴이 후기
저자 이토 아비토(伊藤亞人)는 1943년 도쿄 태생. 1970년부터 도쿄대학 교양학부 조수, 동 대학 동양문화연구소 조수, 하버드대학교 객원 연구원, 도쿄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를 거쳐 영국 런던대학의 SOAS 상급연구원, 서울대학교 초빙교수를 지냈다. 2006년 3월 도쿄대학교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교수를 정년퇴임한 후 도쿄대학교 명예교수, 류큐대학교 교수를 지내고, 현재 와세다대학교 아세아연구기구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본의 민속학에 대한 관심에서 동아시아 사회의 문화인류학·민족학으로 전환하여, 1971년부터 한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각 지역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주도·진도·안동·서울에서 친족조직, 신앙과 의례, 계 등의 상호부조조직, 농촌진흥과 새마을운동, 유교와 교육, 역사인식, 도시이주, 축제의 창조와 지역 활성화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의료인류학·도시인류학·개발인류학 등의 응용인류학 또는 실천적인 연구 외에 시민참가로 이루어지는 ‘요사코이 마쓰리’와 지역활성화 등에 관여하고 있다.1978년 일본민족학진흥회의 시부사와 상, 2002년 대한민국의 문화훈장을 수상했다.
역자 임경택(林慶澤)은 서강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인류학 석사, 도쿄대학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문화인류학을 전공했으며, 일본 치바현 사와라에서 장기간 현지조사를 수행하여 일본의 전통상가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전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이다.

시마 상, 한국 길을 걷다: 일본 인류학자의 30년 한국여행 스케치

시마 무쓰히코(嶋陸奥彦)

사회이동과 계급, 그 멜로드라마: 미국 인류학자가 만난 한국 여성들의 이야기

낸시 에이블먼(Nancy Abelmann)

  • 교보문고
  • yes24
  • 인터파크도서
  • 알라딘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