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일조각의 책들 > 분야별 도서목록
이기백한국사학기초연구
노용필 |
가격: 33,000원
쪽수: 470
발행년/월/일: 2016.06.02
크기: 152×224
ISBN: 978-89-337-0709-8 93910
차례  

서장: ‘학문적 자서전’에 나타난 이기백한국사학의 시기 구분

제1부 검토 편

제1장 이기백 『국사신론』·『한국사신론』의 체재와 저술 목표
1. 머리말
2. 이기백의 한국사학 저술에 대한 연도별 계량적 분석
3. 『국사신론』·『한국사신론』 여러 판본의 체재
4. 『국사신론』·『한국사신론』 여러 판본의 저술 목표
5. 이기백 『국사신론』·『한국사신론』 저술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6. 맺는 말

제2장 『국사신론』·『한국사신론』 본문의 사론
1. 머리말
2. 본문 사론의 내용
3. 본문 사론의 구성
4. 본문 사론의 유형
5. 본문 사론의 대세
6. 본문 사론의 개별성
7. 맺는 말

제3장 이기백한국사학 사론집 삼부작의 출간 의도
1. 머리말
2. 『민족과 역사』의 특징과 그 출간의 의도
3. 『한국사학의 방향』의 특징과 그 출간의 의도
4. 『한국사상의 재구성』의 특징과 그 출간의 의도
5. 사론집 삼부작 출간의 사학사적 의의
6. 나머지 말

제2부 탐구 편

제1장 이기백의 역사주의 수용과 한국사학의 초석 확립
1. 한국사 연구를 통한 세계사 연구에 대한 공헌 강조
2. 일본 유학시절 이기백의 역사이론 공부
3. 역사주의의 수용과 이기백의 사학사 연구
4. 역사주의의 수용과 이기백의 사론 연구
5. 이기백의 주체적 한국사관 및 상대적 평가 사론의 정립
6. 이기백의 민족적 자주성과 개별성 파악
7. 이기백의 한국사학연구에 끼친 역사주의 역사학의 영향
8. 이기백이 ‘역사주의’라는 용어를 쓰지 않은 까닭

제2장 이기백한국사학의 보편성 추구와 개별성 파악
1. 개화기 이후 한국학의 특징으로서 ‘보편성에 대한 인식’이해
2. 보편성·특수성 인식의 지향과 보편성 위에서의 특수성 규명 추구 및 개별성 터득
3. 이기백의 보편성·특수성·개별성 개념 이해에 끼친 외국학자들의 영향
4. 백남운 유물사관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 검증
5. 개별성 파악과 보편적 개념의 성격 규정을 통한 한국사의 세계사 공헌
6. 맺는 말

제3장 이기백의 『한국사 시민강좌』 간행과 민족의 이상 실현 지향
1. 머리말
2. 간행의 목적과 취지
3. 편집의 체재와 변화
4. 특집의 선정과 구성
5. 「독자에게 드리는 글」 중 논평과 전망 제시
6. 게재한 글에 나타난 민족의 이상 실현 지향
7. 1997·2002년 대통령 선거와 관련한 현실 인식 표명
8. 맺음말
이 책은 평생 한국사학 발전을 꾀하면서 그 기틀 마련을 위해 노력하였던 이기백의 한국사학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한 연구서이다. 저자인 노용필은 이기백한국사학의 진면목을 밝히고자 매년 한 편씩의 논문을 발표했고, 이 논문들을 수정 보완하여 완성된 것이 『이기백한국사학기초연구』이다. 이기백은 한국사학의 기틀이 되는 ‘기초’와 ‘기본’을 늘 강조한 학자였다. 저자는 이기백이 남긴 저서들을 면밀히 분석하여 이기백한국사학이 과연 어떤 점에서 한국사학의 발전에 기초를 다져주었는가를 밝힌다.
서장에서는 이기백의 ‘학문적 자서전’들에 나타난 단서들을 종합적으로 살펴 성취기, 정립기, 결실기, 완숙기 등으로 이기백한국사학의 시기를 구분한다.
제1부 제1장에서는 이기백의 저술에 대한 연도별 계량적 분석과 『국사신론』·『한국사신론』의 여러 판본 비교를 통해 그 체재와 저술 목표에 대해 알아본다. 제2장에서는 『국사신론』·『한국사신론』 본문의 사론을 분석해 내용, 구성, 유형적 특징들을 정리한다. 제3장에서는 이기백한국사학 사론집 삼부작 『민족과 역사』, 『한국사학의 방향』, 『한국사상의 재구성』의 출간 의도를 살펴 그 사학사적 의의를 밝힌다.
제2부 제1장에서는 한국사 연구를 통해 세계사 연구에 공헌하고자 했던 이기백의 지론에 영향을 끼친 독일과 유럽의 역사이론들을 살펴보고 이기백의 역사주의 수용이 어떻게 한국사학의 초석 확립으로 연결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이기백한국사학에서 드러나는 보편성과 개별성에 대해 분석한다. 이기백은 특수성과 보편성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는데 차이점과 공통점을 인식하는 것이 한국민족의 역사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길의 하나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런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를 면밀히 검토해 이를 한국사에 적용해서 탄생한 저서가 바로 『한국사신론』이라고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제3장에서는 이기백의 『한국사 시민강좌』 창간 취지에 대해 살펴보고 그가 『한국사 시민강좌』에 게재한 글들을 통해 이기백이 지상으로 삼았던 민족의 이상에 대해 알아본다. 이기백은 국내외적으로 조성된 한국사학의 위기를 극복하고, 시민과 더불어 이야기를 나누고자 1987년 『한국사 시민강좌』를 창간하였다. 저자는 『한국사 시민강좌』에 게재된 이기백의 글들을 분석하여 한국사의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이해를 추구한 이기백의 노력을 평가하고, 또한 자유와 평등을 추구하는 민주사회의 건설을 민족의 이상으로 여겼던 이기백의 지향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