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도서

신간회의 교육운동

신간회의 교육운동

지은이: 이문원

분야: 사회·문화·민속·교육

발행일: 2023-03-27

ISBN: 978-89-337-0819-4 93300

페이지수: 296쪽

판형: 신국판(152*224mm)

가격: 30,000원

수상: 2023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도서

저자 이문원 중앙대 교육학과 명예교수는 3대에 걸친 독립유공자 집안의 후손으로 독립기념관장까지 지냈다. 선친 평주 이승복(平洲 李昇馥) 선생은 신간회(新幹會) 발기인 중 한 분으로, 저자는 선친의 영향으로 신간회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이 책은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대폭 다듬고 정리한 것으로, 이제 와 출간하게 된 것은 뒤늦은 아쉬움과 함께 무엇보다 선친에 대한 송구한 마음이 컸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는 이승복 선생의 일제 강점기와 해방 후 활동과 관련한 기사들을 모아 책 말미에 <부록>으로 실어 그의 활동을 기리고자 했다.

이 책은 식민지 상황의 교육 문제에 대한 신간회 활동을 살펴 신간회의 교육사적 역할과 의미를 풀어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간회에 참여한 선친의 기억이 더해져 신간회의 여러 활동을 구체적이고 풍부하게 담고 있다. 교육학 연구는 물론 역사학 연구에도 뜻깊은 자료가 될 것이다.

 

 

신간회는 교육사적 과제와 민족사적 과제를 일치시킨 사회운동!

제국주의 국가들은 식민지 민족에 대해서 정치적 예속, 경제적 착취, 문화적 전통과 생활양식의 파괴를 일삼았다. 이런 식민지정책들을 추진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바로 교육으로, 식민지교육을 통해 피식민 민족의 의식까지 식민화하고자 했다. 일제도 마찬가지였다.

일제의 식민지교육 목적이 황민화(皇民化)’라면 사학(私學)이나 서당과 같은 민족교육 기관의 목적은 ()황민화’, 즉 민족독립이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의 인가를 받아야만 설치될 수 있었던 제도교육 기관들이 명시적으로 민족독립을 표명할 수 없었다. 그나마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학도 서당도 일제의 식민교육정책에 따르지 않을 수 없었다. 일제 강점기 제도교육의 이 같은 한계성으로 말미암아 민족적 과제는 사회운동을 통해서 추구될 수밖에 없었다. 일제의 강압적이고 차별적인 식민교육에 저항해 일어난 학생운동은 민족의 각성을 촉구하는 계몽운동의 발로였으며,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움직이었다. 학생운동과 더불어 노동운동·농민운동 등도 민족정신을 일깨움으로써 민족운동을 질적으로 발전시켰다. 범민족적 운동 세력인 신간회가 갖는 교육사적 의의도 이런 맥락에서 찾을 수 있다.

신간회는 다양한 교육운동을 전개하였다. 각종 야학의 설립에 관한 건, 조선 아동의 의무교육제 확립에 관한 건, 학생 맹휴에 관한 건, 도서관 설치 및 간이문고 설치에 관한 건, 순회 강좌 개최에 관한 건, 한글 강좌 개최에 관한 건, 무산아동 교육에 관한 건, 학생 사회과학 연구의 자유 및 학생자치제 실시에 관한 건, 대중교육에 관한 건, 모든 교육의 조선인 본위 및 조선어 사용에 관한 건, 관립·사립학교에 대한 경찰 간섭의 금지, 민간 학교기관에 대한 허가제의 폐지, 수업료에 관한 건 등을 추진함으로써 식민화교육에 저항했다. 이러한 신간회의 활동은 당시의 교육문제를 드러낼 뿐만 아니라 그 해결 방안을 위한 민족운동의 당위성을 보여 준다. 여기에서 신간회의 교육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교육사 연구는 제도적 교육 기관의 역사를 기술하는 데에만 치우쳐, 민족교육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각종 민족운동에는 거의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저자는 말한다. 그리하여 의도적이었든 비의도적이었든 간에 한국교육사 연구는 일본의 조선 침략을 합리화하는 방향으로 흘러가 버리고 말았다는 것이다. 저자는 민족저항사 연구를 통해 식민지 시대의 민족주체성을 찾는 측면에서 한국교육사 연구가 절실하다며, 이 책의 현재성을 말하고 있다.

머리말

 

I 서론

 

II 신간회 성립의 사회적 배경

1. 일제의 문화정치의 본질

2. 민족운동의 전개 과정

(1) 민족주의운동의 양상

(2) 사회주의운동의 양상

 

III 신간회의 변화와 성격

1. 신간회의 창립과 변모 과정

(1) 1(1927215~1929627)

(2) 2(1929628~1930118)

(3) 3(1930119~1931516)

2. 신간회의 성격

(1) 신간회의 이념

(2) ‘사회·민족주의의 대두

 

IV 신간회의 교육적 성격

1. 식민화교육에 대한 민족적 저항

(1) 식민정책과 한국의 사회구조 변화

(2) 학교교육의 약화 과정

2. 사회운동의 교육적 성격

(1) 학생운동

(2) 노동자·농민운동

 

V 신간회 활동의 민족교육적 성격

1. 사회개혁적 성격

(1) 만주지방 동포를 위한 신간회 활동

(2) 원산총파업과 신간회

(3) 광주학생운동과 신간회

(4) 단천삼림조합사건과 신간회

(5) 신간회 지회의 사회개혁 활동

2. 국민계몽적 성격

 

VI 신간회운동의 교육사적 의미

1. 교육적 식민주의에 대한 민족적 저항

2. 민족해방교육

3. 민중운동의 민족적 과제 실현

4. 문화적 단절의 극복

 

VII 결론

 

<부록>

이승복李昇馥(1895~1978) 관련 신문 및 잡지 기사

 

참고문헌 

찾아보기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문학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박사)

중앙대학교 사범대학장 역임

중앙대학교 교수 정년 퇴직

전국사범대학협의회 회장, 한국교육사학회 회장, 한국교육철학회 회장, 한국박물관교육학회 회장 역임

독립기념관장 역임

현 수당기념관 관장

현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저서 및 논문

한국의 교육사상가(2002), 문화개방과 교육(공저, 2001), 박물관과 교육(공저, 2001), 

신간회의 교육활동과 광주학생운동(1985), 신간회 민족운동의 교육사적 연구(1983), 신간회의 사회교화(1982) 외 다수

 

  • 교보문고
  • yes24
  • 알라딘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