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독자마당> 보도자료
암 진료 가이드∙∙암 환자 돌봄과 완화요법
등록일 2007.02.26 조회수 2606    
 
 

대표편저자 김노경 | 2005.8.20|신국판 변형(135*215) | 400쪽 |22,000원

 


진료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가이드 
 
우리나라의 암 사망률은 매년 높아져가고 있고, 암 환자의 수도 빠르게 늘어가고 있다. 그만큼 종양학 분야의 치료법도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치료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암 환자와 보호자의 심리를 이해하고, 진료과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며, 환자가 겪게 되는 여러 가지 불편한 증상과 징후를 조절하는 기본적인 ‘돌봄care’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내용을 다룬 책을 만나기가 쉽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양전문의 55인이 모여 이 책을 집필하였다.
암 환자의 심리, 환자ㆍ가족과의 의사소통, 말기암 환자의 돌봄과 임상시험 등 암 환자를 진료하면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들을 다루었으며, 진료 시 당면하게 되는 암 환자의 다양한 증상과 징후를 설명하고 실제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진료현장에서 즉시 책 내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표준적이고 실제적인 진료지침을 간결하게 다루고, 지나치게 세부적인 내용이나 논란이 많은 내용은 제외하였다. 약물치료를 설명할 때는 약물의 구체적인 이름과 용량을 제시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또한 포켓북 스타일로 작고 가볍게 만들어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내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환자를 치료한다는 것은 병을 고치는 행위일 뿐만 아니라, 그 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삶의 질을 높여주는 행위이기도 하다. 이 책은 암으로 고통받는 환자, 보호자와 진료 일선에서 암 환자의 아픔을 함께 나누는 의료진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집필진 소개


대표편저자
김노경
편집위원
강윤구, 김시영, 김흥태, 박근칠, 방영주, 허대석
집필진
강원기_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강윤구_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권정혜_강동성심병원 혈액종양내과
김노경_서울대학교병원 내과
김동완_서울대학교병원 내과
김병국_서울대학교병원 내과
김성록_인제의대상계백병원 내과
김승택_충북대학교병원 내과
김시영_경희의료원 종양혈액내과
김원석_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인호_서울대학교병원 내과
김지현_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과
김태유_서울대학교병원 내과
김효진_동아대학교의료원 혈액종양내과
김흥태_국립암센터 폐암센터
류민희_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박근칠_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박선양_서울대학교병원 내과
박숙련_국립암센터 위암센터
박영석_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박영이_한강성심병원 혈액종양내과
방수미_가천의대길병원 혈액종양내과
방영주_서울대학교병원 내과
변재호_가톨릭대학교성모병원 종양내과
서창인_국립의료원 혈액종양내과
송헌호_강동성심병원 혈액종양내과
신동복_가천의대길병원 혈액종양내과
안진석_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양성현_원자력병원 혈액종양내과
오도연_보라매병원 내과
우인숙_가톨릭대학교성모병원 종양내과
유영진_인제의대상계백병원 내과
윤성수_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이근석_국립암센터 유방암센터
이기형_충북대학교병원 내과
이대호_국립암센터 폐암센터
이상재_중앙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세훈_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이순남_이화여대 동대문병원 내과
이원섭_경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재진_경희의료원 종양혈액내과
이재훈_가천의대길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정애_을지대학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종석_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임석아_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임영혁_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장정순_중앙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장흥문_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정경해_국립암센터 대장암센터
정주영_한강성심병원 혈액종양내과
정철원_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조요한_건국대학교병원 종양혈액내과
조은경_가천의대길병원 혈액종양내과
최인실_보라매병원 내과
허대석_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차례


머리말
제1장  암 환자의 심리     
제2장  암 환자, 보호자와의 대화기술    
제3장  나쁜 소식 알리기       
제4장  치료계획과 치료결과 설명하기         
제5장  서면동의서 받기        
제6장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는 환자 돌보기        
제7장  보완대체의학의 올바른 이해        
제8장  임상시험 대상자의 선정과 주의점        
제9장  삶의 질 평가      
제10장  통증     
제11장  발열         
제12장  피로       
제13장  식욕부진과 체중감소        
제14장  오심과 구토
제15장  암 환자의 식이와 운동
제16장  불안 
제17장  우울 
제18장  섬망 
제19장  불면증 
제20장  경련
제21장  저림 
제22장  근력저하 
제23장  호흡곤란 
제24장  기침 
제25장  객혈 
제26장  흉수
제27장  심낭삼출
제28장  저혈압과 쇼크
제29장  변비
제30장  설사
제31장  장폐색
제32장  복수
제33장  딸꾹질
제34장  구강점막염
제35장  부종 
제36장  가려움
제37장  발진
제38장  항암제 혈관외유출
제39장  골절과 뼈 통증
제40장  성생활
제41장  생식기능 이상 
제42장  항응고제의 사용
제43장  호중구감소증
제44장  빈혈
제45장  혈소판감소증
제46장  방사선치료 독성           
제47장  항암제 지연독성         
제48장  고칼슘혈증            
제49장  칼륨 이상          
제50장  나트륨 이상          
제51장  간기능검사 이상           
제52장  신장기능 이상          
제53장  종양융해증후군 
찾아보기   

 

    
 일본형 시스템―위기와 변화
 사회학으로 풀어본 현대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