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일조각의 책들 > 분야별 도서목록
改訂增補版 한국근대민족운동사 연구
신용하 |
가격: 30,000원
쪽수: 532
발행년/월/일: 2017.09.25
크기: 152×224mm
ISBN: 978-89-337-0735-7 93910
개정증보판 머리말
초판 머리말

제1장 한말 의병운동의 기점에 대한 신고찰
1. 세 개의 문제제기
2. 한말 의병운동의 기점문제
3. 한말 의병운동의 단계설정 문제
4. 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의 관계문제

제2장  전국 ‘십삼도창의대진소’의 연합의병운동
1. 머리말
2. 군대해산 후의 전국 의병운동의 고양
3. ‘십삼도창의대진소’의 성립
4. 십삼도창의대진소의 삼산전투·마전전투와 의병전쟁
5. 제1차 서울탈환작전
6. 일제통감부의 대응과 공작
7. 제2차 서울탈환작전
8. ‘십삼도창의대진소’ 군사장의 일제통감에의 요구조건
9. 맺음말
 
제3장  홍범도 의병부대의 항일무장투쟁
1. 머리말
2. 홍범도의 머슴살이와 포수의 시기
3. 홍범도 의병부대의 형성과 봉기
4. 홍범도 의병부대의 조직
5. 홍범도 의병부대의 항일무장투쟁 (1)
6. 포수의병들의 수난
7. 홍범도 의병부대의 항일무장투쟁 (2)
8. 홍범도 의병부대의 특징
9. 홍범도 의병부대의 망명
10. 맺음말

제4장  신민회의 독립군기지 창건운동
1. 머리말  
2. 신민회의 창립
3. 신민회의 목적과 이념
4. 신민회의 조직
5. 신민회의 교육구국운동
6. 신민회의 학회활동과 계몽강연운동
7. 신민회의 잡지·서적 출판운동
8. 신민회의 민족산업운동
9. 신민회의 청년운동
10. 신민회의 독립군기지 창건운동  
11. 신민회의 해체
12. 맺음말

제5장  신한청년당의 독립운동
1. 머리말  
2. 신한청년당의 창립
3. 신한청년당의 당헌과 강령과 조직
4. 신한청년당과 3·1운동
5. 신한청년당의 활동과 상해 임시정부
6. 『新韓靑年』의 발행
7. 3·1운동 이후의 신한청년당
8. 신한청년당의 해산
9. 맺음말  

제6장  3·1 독립운동의 전개과정
1. 머리말  
2. 3·1운동의 태동
3. 3·1운동의 초기 조직화  
4. 민족대연합전선의 형성
5. 3·1독립선언의 준비
6. 3·1운동의 전개 (1)
7. 3·1운동의 전개 (2)
8. 3·1운동의 민족사적 의의  
9. 3·1운동의 세계사적 의의  
10. 맺음말

제7장  독립군의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독립전쟁
1. 3·1운동 후 독립군무장투쟁의 고양
2. 봉오동전투
3. 봉오동대첩의 영향
4. 독립군의 근거지 대이동
5. 일본군의 간도침입
6. 청산리독립전쟁
7. 청산리대첩의 요인

제8장  홍범도의 대한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
1. 머리말  
2. 대한독립군의 창설
3. 대한독립군의 조직
4. 대한독립군의 국내진입작전의 시작  
5. 홍범도와 대한북로독군부의 성립
6. 봉오동전투와 홍범도
7. 청산리독립전쟁과 홍범도연합부대
8. 대한독립군의 ‘시베리아 이동과 대한독립단’
9. 만년의 홍범도  
10. 맺음말

제9장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의 역사적 의의
1. 머리말 :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의 관계
2. 3개 임시정부의 수립
3. 통합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성공
4. 임시정부의 초기 몇 가지 주요 활동
5. 임시정부의 초기 육군무관학교 설립과 참의부의 군사활동 지휘
6. 임시정부의 한인애국단의 특공활동
7. 임시정부의 한국광복군 창군과  ‘대일선전포고’ 재선언
8. 임시정부 외교와 카이로 선언의 성과
9. 임시정부의 ‘연합정부’로의 개편과 활동  
10. 임시정부와 광복군의 국내진입 해방 작전
11. 맺음말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사적 의의

찾아보기
1988년 출간된 『한국근대민족운동사 연구』의 개정증보판. 1904년 이후 한국의 민족운동과 독립운동에 대한 논문 9편을 실었다. 민족운동가들의 인맥, 조직 갈등, 파쟁 등이 아니라 사회사학의 방법론인 구조사적 방법과 업적 중심으로 한국 근대민족운동사를 설명하였다. 개정증보판에서는 본문의 한자를 한글로 바꾸어 읽기 편하도록 편집하고, 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의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는 논문을 추가하였다.
저자 소개

신용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석사․사회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동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울산대학교 석좌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