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일조각의 책들 > 분야별 도서목록
소설분석방법
최시한 |
가격: 20,000원
쪽수: 224쪽
발행년/월/일: 2015.01.30
크기: 신국판
ISBN: 978-89-337-0691-6

책머리에
서장  소설의 층위와 초점

제1장 인물, 사건(1)
인물 연구 방법―현진건의 『무영탑』을 예로

1. 인물 연구 방법의 필요성
2. 인물 연구 비판
3. 기본 개념 설정
4. 성격소의 기능과 해석
5. 성격소의 종류와 인물 그려내기 방식
6. 『무영탑』 분석
(1) 관념적이고 유형적인 인물 그려내기
(2) 성격의 내면성과 사회성 빈약
7. 맺음말―‘작자의 의도’라는 허상

제2장 인물, 사건(2)
가련한 여인 이야기―『직녀성』, 『순정해협』, 『탁류』를 예로

1. ‘가련한 여인 이야기’ 유형
2. 연구 방법
3. 가련한 여인 이야기의 특성과 구조
(1) 가련한 여인의 특질과 독자 반응
(2) 사건 구조
4. 작품 분석
(1) 『탁류』와 『순정해협』
(2) 『직녀성』
5. 맺음말―유형 설정의 의미

제3장 시간, 플롯
「별사」의 해석과 시간 기점

1. 시간 분석과 그 기점
2. 소설의 시간 기점
3. 「별사」의 스토리 형성과 서술기점
4. 「별사」의 중심사건과 시간
(1) 정옥의 변화
(2) 상상의 실체와 중심사건
(3) 그럴듯함의 창출과 그 의미
5. 맺음말―시간 기점과 플롯 분석

제4장 공간, 인물 그려내기
근대소설의 형성과 ‘공간’

1. 근대소설의 내면성과 공간성
2. 공간의 특성과 기능
3. 형성기 근대소설의 공간 분석
(1) 장면화와 공간화
(2) 지리적 위치와 감정의 제시
(3) 복합적인 내면 표현
(4) 내면의 상징화, 작품 구조의 공간화
4. 맺음말―소설의 근대화와 공간화

제5장 시점
김동인의 시점과 시점론

1. 서술 형식과 상상력
2. 시점론의 양상
3. 작품의 시점 양상
(1) 서술방식의 세 가지 특징
(2) 액자적 서술의 양상과 기능
4. 맺음말―인식과 실천의 괴리

제6장 서술
이문구 소설의 서술 구조―연작소설을 중심으로

1. 이문구 소설의 연구 방법
2. 작자-서술자
3. 전傳 양식
4. 초점자 서술
5. 장면 중심 서술
6. 회귀 구성
7. 맺음말―타자이기를 거부함

제7장 이데올로기
가족 이데올로기와 소설―최서해의 「해돋이」를 예로

1. 문학과 이데올로기
2. 가족, 가족 이데올로기
3. 한국 문화와 가정소설 연구
4. 연구 방법의 모색―최서해의 「해돋이」 분석
5. 맺음말―이데올로기 갈등의 낭만적 해결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찾아보기

한국소설을 서술 중심으로 분석하다
한국문학 연구자이자 작가인 지은이는 소설의 스토리 외에도 서술 측면에 주목하여 소설을 다채롭게 분석하는 방법을 꾸준히 모색해왔다. 이 책은 그 오랜 연구의 결과물이다. 소설의 스토리는 서술을 매개로 형성된다. 서술의 매개 없이는 스토리가 존재할 수 없고, 스토리 없는 서술은 이야기가 아니므로 둘은 서로 의존하는 관계이다. 이 책은, 스토리에 중점을 두었던 기존의 문학연구와 달리 서술의 층위에 중점을 두어 소설을 분석하는 방법과 미적 원리를 논의했다. 그리고 이를 한국 근·현대소설 작품들에 적용하여 적합성을 검토했다.

서술층위에 주목하는 이유―소설을 입체적으로 읽기
소설의 스토리가 ‘서술된 것’이라면 서술은 ‘서술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술은 사건뿐 아니라 인물, 시간, 공간 등 스토리층위의 여러 요소와 밀접하다. 서술은 이처럼 소설의 예술성을 좌우하는 요소 중 하나이므로 섬세한 분석이 필요하지만, 한국 근대소설 연구는 그동안 이를 소홀히 해왔다. 이러한 경향은 현실에 대한 작가의 인식이나 재현 문제에 치우쳐 문학 연구의 시야를 좁히기 쉽다. 소설의 내용에 치중한 연구에서 흔히 ‘서술된 것’이라고 여기는 스토리층위의 사건, 인물, 시간, 공간 등에 대한 논의의 타당성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도 서술층위 분석은 필요하다. 전자혁명이 소통 매체와 형식을 혁신하고 다양화한 현실에서, 이야기 행위(스토리텔링) 전반에 대한 연구의 바탕 혹은 출발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의 구성
이 책은 소설을 서술층위 중심으로 살피기 위해 여러 개념과 논리를 설정했다.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소설의 소통 과정에 참여하는 창작주체(작자)-서술주체(서술자)-행동주체(인물)/인식주체(초점자)-독서주체(독자) 등의 역할을 두루 고려하며 작품들을 입체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서장에서는 소설 분석의 층위를 서술, 스토리, 주제 세 가지로 구분하여 논의의 바탕으로 삼았다. 제1장에서는 인물 연구 방법의 문제점을 살피고 그 대안을 제시했다. 인물과 성격을 구별하며, ‘특질’, ‘성격소’ 등의 개념을 새로이 설정하고, 현진건의 장편 역사소설 『무영탑』을 분석하여 그 적절성을 검토했다. 인물 연구는 깊은 차원에서 원형적 스토리와 그 주체, 즉 원형적 인물(인간상) 논의로 귀결될 수 있다. 그 예로 제2장에서는 ‘가련한 여인 이야기’를 한국 이야기 문학의 스토리 유형 중 하나로 설정하고, 이 이야기 전통의 문화적 바탕을 살폈다. 제3장에서는 이야기 연구에서 매우 근원적이고 미묘한 대상인 시간을 읽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시간 기점’이라는 개념을 설정하고 이를 오정희의 단편소설 「별사」 해석에 적용했다. 제4장에서는 소설의 공간 개념을 살폈다. 그리고 20세기 초의 약 20년 동안 나타난 신소설과 초기 단편소설들을 공간과 이를 활용한 인물 그려내기 중심으로 분석하여 근대소설의 특성과 그 형성 과정의 일단을 밝히고자 했다. 제5장에서는, 소설의 근대적 서술방식을 논의하고 실천한 비평가이자 작가인 김동인의 비평문과 소설 작품을 함께 분석했다. 김동인이 주장한 ‘시점론’과 그의 작품들에 나타난 시점의 양상을 단편소설 위주로 살펴 김동인 문학의 일면을 문학사적 맥락에서 평가하고자 했다. 제6장에서는 전통적 서술방식과 근대소설적 서술방식이 혼효된 이문구의 연작소설들을 대상으로 서술층위에서 논의할 수 있는 점들을 검토했다. 제7장에서는 소설의 주제층위에서 이데올로기를 연구하는 논리와 방법을 모색했다. 먼저 이데올로기와 소설 및 작자의 관련 양상을 살핀 후, 최서해의 단편소설 「해돋이」를 분석했다.

책 속으로
 
소설의 서술을 접하는 독자는 내면에서 어떤 ‘형상’의 세계를 재현하고 체험하며 스토리를 형성 혹은 구성한다. 이 과정에는 지적·정서적 반응과 그 반응들의 재구성을 통한 의미 탐색이 동반된다. 그것이 바로 독자가 ‘이 소설은 도대체 무엇에 관한 이야기인가’라는 질문을 해결해나가는 과정이다. 한편 서술을 읽는 쪽에서 하는 쪽으로 국면을 바꾸어 살펴보면, 스토리는 작자 혹은 서술자가 대상의 어디를, 어떤 관점과 맥락에서, 어떤 스타일로 서술함에 ‘따라’ 형성된다. 초점화 작업 혹은 서술 행위의 ‘초점’이 스토리의 형상화와 의미 형성을 좌우하는 것이다.  -22쪽

소설을 읽을 때, 독자는 주로 스토리시간에 주목한다. 독자는 작품 외부 세계의 현실과 자신이 경험했거나 상상한 세계의 현실을 바탕으로, 어떤 시간과 공간 속에 존재하는 사건의 연쇄인 스토리를 떠올리고 구성한다. 이 ‘서술된 시간’ 차원의 실상에 비해 ‘서술하는 시간’, 즉 서술시간에 대해서는 비교적 관심이 적고, 둘의 관계에 관한 연구도 빈약한 편이다.
소설의 시간을 두 차원으로 살피는 것은 소설에 존재하는 행위를 두 차원으로 구별하여 살핌을 뜻한다. 하나는 스토리 차원에서 행동 주체(인물)가 하는 행위이고, 다른 하나는 그 행위를 서술 주체(서술자)가 인식하고 서술하는 행위이다.  -74쪽

소설로 대표되는 허구적 이야기, 특히 시간변조anachrony가 심한 작품을 읽는 독자는 시간상 중심적이고 의미상 지배적인 사건을 기준으로 자연적 시간 질서에 따라 스토리를 ‘낯익게’ 재배열하고 구성한다. 즉, 인과관계를 설정하고 통일된 사건과 의미 맥락을 구축한다. 이때 독자는 기준사건이 발생하는 지점(스토리 기점)과, 서술자가 서술을 시작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지점(서술 기점)을 설정하는 매우 중요한 일을 하게 된다. 가령 염상섭의 「만세전萬歲前」은 ‘만세 후’가 서술 기점이다. 이 작품은 그 전의 일만 다루므로 스토리에 3·1만세운동은 등장하지도 않는데, 서술 기점이 이러하기에 주요 의미소들이 일단 모두 그 사건에 수렴된다. ‘만세운동의 원인과 뜻’ 같은 문제 중심으로 주제적 맥락이 잡히는 것이다. 서술 기점의 역사적 의미가 스토리의 중심사건과 그 의미를 형성하는 셈이다.  -79~80쪽

한국 소설사에서 공간의 기능이 획기적으로 변화하고 사건이나 인물처럼 중요한 요소로 활용되기 시작한 시기는 근대소설 형성기인 20세기 초의 약 20년 동안으로 여겨진다. 이는 근대소설이 이전의 소설과 구별되는 점으로 배경의 기능 변화, 장면적 서술의 등장, 서술구조 전반의 ‘공간화’ 현상 등을 지적한 여러 연구들에서 확인된다. 또한 소설 제목이 인물의 이름이 아니라 ‘혈의 누’, ‘치악산’, ‘쓰러져가는 집’ 등의 공간 또는 사물로 바뀐 현상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 이언 와트Ian Watt도 주장했듯이, 소설의 근대성이나 근대화 과정을 살필 때 공간은 매우 중요한 항목이다.  -109~110쪽
 
김동인의 소설에는 그가 말한 ‘다원묘사’가 많다. 서술자가 매우 권위적, 작자적인 것이다. 또한 묘사가 적으며, ‘나’가 다른 인물의 이야기를 하는 액자적 서술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액자적 서술방식은 김동인의 시점론에는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특히 여기서 창작을 통한 그의 모색을 엿볼 수 있다. 그는 경험적 자아와 허구적 자아가 뒤섞인 ‘나’가 권위적으로 개입해도 화법과 플롯의 통일성이 깨질 위험이 적으며 서술도 입체성을 지닐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나중에는 매우 안이하게 이 형식을 사용했다. 바꿔 말하면, 서술자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고도 그런 효과를 낼 수 있으며, 구성상의 무리를 감추면서 비교적 쉽게 박진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액자적 형식을 많이 쓴 것이다. 이는 그가 근대적 서술방식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결국 이야기의 기본 서술상황을 다소 변형하는 데 그쳤으며, 궁극적으로 특정한 세계관이나 이야기 대상, 가령 당대 사회 현실과 그것이 요구한 사상에서 산출된 어떤 형태를 얻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150쪽

요컨대 이문구는 허구와 비허구의 경계를 의도적으로 의식하지 않거나 무시하고 서술하는 경향이 있다. 서술자라는 대리인을 내세워 허구적인 담화 상황과 세계를 구성하기보다, 실제 담화 상황과 같이 청자(독자)에게 직접 구술하여 체험을 전달하려는 경향, 즉 미적 형상화 충동보다 직정적·고백적·경세적經世的 충동이 지배적인 서술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어떤 때는 사건의 상황과 인물의 처지는 제쳐놓은 채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다가 문득 “어쩌다가 이야기가 이에 이르렀는지 알지 못하겠다”고 할 정도이다. 서술의 구술성, 서술행위의 비간접성으로 요약되는 이러한 특징은 근대소설의 일반적 규범과 부합하지 않지만(부합하기를 거부한 결과라고 할 수도 있지만), 판소리 사설처럼 ‘구술적인’ 이야기의 ‘이야기체’ 서술방식, 채만식의 『태평천하』나 김유정의 소설에 등장하는 서술방식과 통한다.  -16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