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일조각의 책들 > 분야별 도서목록
인류학 민족지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이용숙, 이수정, 정진웅, 한경구, 황익주 |
가격: 15,000원
쪽수: 288
발행년/월/일: 2012.03.15
크기: 152×224
ISBN: 978-89-337-0625-1 03330
머리말
 
제1장 서론: 인류학, 민족지적 연구, 현장연구
Ⅰ. 인류학, 민족지적 연구, 현장연구의 관계
Ⅱ. 민족지적 연구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
 
제2장 현장연구의 설계
Ⅰ. 연구주제 선정 시 고려사항
Ⅱ. 연구현장 선정 시 고려사항
Ⅲ. 연구계획서 쓰기
Ⅳ. 연구계획서의 양식
더 읽어보기 연구계획서 작성의 사례
 
제3장 현장 들어가기, 자리 잡기, 떠나기
Ⅰ. 현장 들어가기
Ⅱ. 자리 잡기
Ⅲ. 떠나기
 
제4장 참여관찰
Ⅰ. 참여관찰이란 무엇인가?
Ⅱ. 참여수준의 다양성
Ⅲ. 참여관찰은 왜 하는가?
Ⅳ. 참여관찰은 어떻게 하는가?
 
제5장 면담
Ⅰ. 민족지적 현장연구의 기본적 자료수집 방법으로서의 면담
Ⅱ. 민족지적 연구에 사용되는 면담 방법의 특성
Ⅲ. 면담 방법은 왜 필요한가?
Ⅳ. 어떻게 면담하는 것이 좋은가?
더 읽어보기 초점집단 면담
 
제6장 기록과 자료 관리
Ⅰ. 현장연구에서는 왜 기록을 하는가?
Ⅱ. 현장연구 기록의 종류는 무엇이며 어떻게 기록하는가?
Ⅲ. 현장연구 기록 자료의 관리
 
제7장 자료의 분석에서 글쓰기까지
Ⅰ. 자료의 분석과 해석 시 고려사항
Ⅱ. 민족지적 글쓰기
Ⅲ. 민족지적 글쓰기의 종류와 스타일
더 읽어보기 현장연구와 윤리성의 문제
 
참고문헌
현장연구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책들
찾아보기
에스노그라피 연구방법의 A부터 Z를 새로운 방식으로 서술한 입문서
 
우리 실정에 맞고 한국어로 써진 인류학 현장연구방법론 책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이 땅에서 인류학을 가르치는 인류학자라면, 인류학을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누구나 해보았을 것이다. 문화인류학의 가장 큰 특징이자 거의 모든 인류학자들의 자부심의 원천인 현장연구방법론을 영어로 쓴 책에 의지하여 가르치고 배우자니, 공부하기도 힘들고 수업 효과에도 문제가 있었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한 인류학자 다섯 명이 모여 4년 동안 머리를 맞대고 치열하게 고민한 결과물이 이 책이다. 민족지 연구의 개념부터 현장연구fieldwork를 설계하고, 현장에 들어가 자리를 잡고, 참여관찰과 면담을 진행하고, 기록과 자료를 관리하여 마침내 글쓰기를 마치기까지, 인류학 민족지 연구를 시작해 마무리하는 과정을 자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해 준다. 또 다양한 사례를 곳곳에 배치하여 실제 현장연구를 할 때 구체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지은이 소개

이용숙
서울대 미학과 및 동 대학원 인류학과 졸업. 미국 노스웨스턴대 인류학 박사. 한국교육개발원 책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덕성여대 문화인류학과 교수이다. 저서로 <교육인류학: 연구방법과 사례>, , <수업방법>(공저),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 실행연구방법>(공저) 등이 있다.
 
이수정
연세대 사회학과 학사. 미국 일리노이대 인류학 석사 및 박사. (재)무지개청소년센터 부소장을 거쳐 현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이다. 저서로 <한국사회문제>(공저)가 있다.
 
정진웅
한국외국어대 정치학과 학사. 서울대 대학원 인류학과 석사과정 수료. 미국 일리노이대 인류학 석사 및 박사. 현재 덕성여대 문화인류학과 교수이다. 저서로 <노년의 문화인류학>, <웰컴 투 코리아: 북조선 사람들의 남한살이>(공저) 등이 있다.
 
한경구
서울대 인류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미국 하버드대 인류학 박사. 강원대 인류학과와 국민대 국제학부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이다. 저서로 <공동체로서의 회사>, <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공저),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책임편집),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공저) 등이 있다.
 
황익주
서울대 인류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영국 옥스퍼드대 인류학 박사. 강원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이다. 저서로 <종족과 민족>(공저), <세상읽기와 세상만들기: 사회과학의 이해>(공저), <우리 학문이 가야 할 길>(공저) 등이 있다. 
 
책 소개
 
1958년 한국문화인류학회가 창립하고 1961년 서울대학교에 고고인류학과가 창설된 후 50여 년이 지났다. 이제 많은 대학에 (고고․문화)인류학과가 만들어졌을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대학에서 교양 과목으로 인류학을 가르치고 있고, 고등학교 논술 교재에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이 인용되는 등 인류학은 그 저변을 조금씩 넓혀 왔다.
하지만 정작 인류학을 공부하는 데 꼭 필요한 교재의 종류는 풍부하지 못했던 것이 현실이다. 특히 문화인류학 연구의 특징이자 자부심의 원천인 현장연구방법론을 포괄적으로 다루되, 우리 실정을 반영한 교재는 거의 없었다. 이 때문에 문화인류학을 가르치는 사람이나 배우는 사람이나 영어로 된 책을 보고 공부하거나 이 책 저 책을 그때그때 참고하며 공부할 수밖에 없었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한 인류학자 다섯 명이 모여 4년 동안 머리를 맞대고 치열하게 고민한 결과 탄생한 책이 <인류학 민족지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How To Do Anthropological Ethnography?)>이다.

이 책은 이제 막 인류학에 입문하여 민족지적 현장연구ethnographic fieldwork를 처음 시작하는 학생들을 위해 써졌다. 이들에게 일차적으로 필요한 것은 단순히 현장연구나 참여관찰을 어떤 방식으로 한다는 기술적 지식이 아니라, 이러한 연구방법을 ‘왜’ 사용하느냐라는 점이다. 이 점을 이해해야만 인류학을 공부하면서 길을 잃지 않고, 인류학이라는 학문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책은 민족지적 연구와 현장연구,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등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민족지적 연구를 왜 수행해야 하는가를 알려 주는 데에서 시작한다.
이제 연구주제와 연구현장을 선정하고 연구계획서를 쓸 차례이다. 두 번째 장에서는 주제와 현장을 선정할 때의 고려사항과 참고할 웹사이트 정보, 계획서를 쓰는 방법 등을 저자와 학생들의 사례를 예로 들며 자세하게 설명한다. 마지막에는 본문 내용과 그에 해당하는 연구계획서의 실례를 소개하여 구체적인 적용방법을 알려 준다. 세 번째 장에서는 현장에 들어가서 자리를 잡고, 연구를 마친 후 나올 때까지 연구자로서 겪게 되는 상황과 어려움, 해결 방법 등을 마치 오랜 현장연구 경험을 지닌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직접 설명해 주듯이 구체적이고 친절하게 설명한다.
네 번째 장은 인류학 하면 떠오르는 방법인 참여관찰에 대한 내용이다. 참여관찰의 개요와 참여관찰을 하는 이유,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지침 등을 소개한다. 다섯 번째 장에서는 참여관찰과 함께 기본적인 자료수집 방법 중 하나인 면담에 대해 살펴본다. 민족지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면담 방법의 특성과 수행 이유, 구체적인 면담 방법 등을 설명한다.
여섯 번째 장에서는 현장연구 중에 반드시 해야 하는 ‘기록’과, 수집한 자료를 관리하는 방법을 다룬다. 다양한 기록물의 종류와 기록 방법 및 각각의 사례, 기록 시 주의할 사항 등을 설명하고, 자료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팁을 알려 준다. 마지막으로 일곱 번째 장에서는 자료 분석과 글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구를 마친 후 쌓여 있는 자료를 검토하고 분석할 때 고려할 사항과 지침, 민족지적 글쓰기의 방법과 종류 등을 소개한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우리나라에서 인류학에 입문하는 학 생들을 위해 맞춤형으로 써졌다는 점이다. 오랫동안 인류학을 가르쳐온 저자들의 노하우와 경험을 녹여내어, 학생들이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였다.
또한 300쪽 미만의 두께에 가벼운 종이를 사용하여 휴대성을 높이고, 두 가지 색으로 인쇄하고 중간 중간 일러스트를 삽입하여 독자가 편안하게 읽을 수 있도록 편집하였다.